건강/의료 정보

건강/의료 정보 게시글 보기
제목 길랑바레 증후군과 재활치료 회복의 길을 여는 방법
조회수 153 등록일 2025-03-20
제목 길랑바레 증후군과 재활치료 회복의 길을 여는 방법
조회수 153
등록일 2025-03-20 15:49:21

 


 

안녕하세요. 더 나은 내일을 약속하는 서울안강병원 재활센터입니다.

 

길랑바레 증후군은 말초신경계 손상으로 발생하는 희귀 질환으로, 빠른 진행과 심각한 증상을 동반합니다. 이 질환은 조기 치료와 함께 재활치료가 필수적이며, 이를 통해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길랑바레 증후군이란?

 


 

길랑바레 증후군은 면역계가 말초신경의 수초(절연체)를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, 감염(호흡기, 소화기 감염) 후 발생할 수 있으며, 모든 연령대가 주의해야 합니다.

  • 근육 약화: 발끝, 손끝에서 시작해 다리, 팔로 퍼지는 대칭적 근력 저하

  • 저림과 감각 이상: 손발 끝의 따끔거림, 감각 둔화

  • 보행 곤란: 다리 근력 약화로 걷기 어려움

  • 통증: 허리, 다리, 팔의 찌르는 듯한 통증(밤에 심화)

  • 심한 경우: 호흡 근육 약화로 호흡 곤란, 안면 마비

길랑바레 증후군은 조기 치료(면역글로불린 주사, 혈장교환술)로 증상을 억제하지만, 신경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(근력 저하, 보행 곤란)이 남을 수 있습니다. 재활치료는 이러한 후유증을 줄이고 기능을 회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

 

 

 

 

 길랑바레 증후군 재활치료 방법

 


 

재활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.

  • 초기(발병 후 1~4주): 침상 내 운동(관절 가동 범위 유지), 통증 관리(전기 자극)

  • 중기(1~3개월): 근력 강화(저항 운동), 보행 훈련(보행기 활용)

  • 후기(3~6개월 이상): 기능적 활동(일상 동작 연습), 사회 복귀 준비(작업치료)

서울안강병원은 환자 분들의 정확한 손상도를 파악하여 물리치료사, 작업치료사 등 전문 재활 치료사들이 맞춤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있습니다. 로봇 보행 장치, FES(전기 자극)으로 근력 회복 지원하고, 운동치료, 물리치료 등을 병용하고 있는데요.

환자 분들이 빠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모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 길랑바레 증후군은 발병 시 급속도로 증상이 진행되어 삶의 질의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, 신속히 재활치료를 진행한다면 독립적인 일상 생활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. 길랑바레 증후군 증상이 의심된다면 혹은 길랑바레 증후군 진단을 받았다면 언제든 서울안강병원으로 내원 부탁 드립니다.

 

 

 

 


→ 외래/낮병동/감각통합실 상담: https://naver.me/xl0X6mu2

→ 전화 예약: 1899-32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