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/의료 정보

건강/의료 정보 게시글 보기
제목 소변검사 피가 보인다면?
조회수 149 등록일 2025-03-18
제목 소변검사 피가 보인다면?
조회수 149
등록일 2025-03-18 14:46:48

 


 

안녕하세요. 새벽 건강검진이 가능한 서초 유일의 검진센터! 서울안강병원 건강증진센터입니다.

 

소변검사 피는 소변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 상태를 의미하며, 이는 신장, 요로, 방광 등 비뇨기계 문제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 소변검사는 이를 발견하는 가장 기본적인 건강검진 방법으로, 조기 발견과 대처가 중요한데요.

만약 건강검진 소변검사 시 피가 나왔다는 말을 들었다면, 오늘 포스팅을 주목해주시길 바랍니다.

 

 

 

 소변검사 피란 무엇인가?

 


 

소변검사에서 피가 확인되면 이를 혈뇨라 부르며,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.

  • 육안 혈뇨(Gross Hematuria): 소변이 붉거나 갈색으로 보이는 경우

  • 현미경 혈뇨(Microscopic Hematuria):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현미경으로 적혈구 확인

소변검사는 일반건강검진의 기본 항목으로, 소변을 채취해 간단히 진행되며 비뇨기계 이상을 탐지하는 데 유용합니다. 따라서 국가건강검진에도 소변검사는 필수 검사 항목으로 속해 있는데요. 소변에 피가 섞이는 원인은 다양합니다

  • 신장 질환: 신우신염, 신결석, 사구체신염(혈뇨와 단백뇨 동반)

  • 요로 문제: 요로결석, 요로 감염(세균성 방광염)

  • 방광 질환: 방광염, 방광암(특히 50세 이상 주의)

  • 전립선 문제: 전립선 비대증, 전립선염(남성)

  • 기타: 격한 운동, 외상, 신장 종양

 

 

 

 

 소변검사 피 발견 시 대처

  • 정상 범위: 적혈구 0~3개/HPF(고배율 시야) 미만

  • 이상 소견: 3개 이상, 육안 혈뇨 시 즉시 병원 상담

  • 추가 검사: 초음파, CT, 방광경 검사로 원인 규명

만약 소변검사 후 피가 확인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대처해야 합니다.

 

 


 

 1. 증상 확:

  • 통증(옆구리, 배뇨 시), 발열, 배뇨 곤란 등 동반 증상 기록

  • 소변 색상(붉은 정도), 지속 여부 관찰

2. 추가 검사:

  • 소변 배양 검사: 감염 여부 확인

  • 초음파: 신장, 방광 상태 점검

  • CT: 결석, 종양 탐지

  • 방광경 검사: 방광 내부 관찰(필요 시)

3. 생활 조정:

  • 격한 운동 일시 중단, 충분한 수분 섭취

소변검사 피는 신장과 요로 건강의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. 서울안강병원 건강증진센터는 전문적인 소변검사로 조기 발견과 예방을 지원하며, 여러분의 건강을 지켜드리고 있으니 언제든 예약 부탁 드립니다.




→ 전화 예약: 02-521-3210